온라인설문조사 프로세스
오프라인조사 프로세스 vs. 온라인조사프로세스
e리서치 프로세스의 많은 개선과 변화 중에서도 가장 큰 변화는 데이터수집(Data collection)과 자료처리(Data processing) 프로세스이다. 재래식리서치 프로세스가 '면접원(Interviewer)' 이라는 노동집약적 요소를 특징으로 하는 반면, e리서치는 인터넷과 시스템(솔루션)을 활용한 기술집약적 데이터수집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e리서치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를 위해 우선 재래식리서치의 대표적인 방법인 면접조사(Face-to-Face) 프로세스에 대해 먼저 살펴보자.
위의 <그림>에서 보듯 재래식리서치와 e리서치 프로세스의 기획과 분석(Reporting)은 연구인력의 투입이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e리서치의 경우 데이터수집을 위한 준비과정, 실사(Fieldwork), 자료처리(Data processing) 등 데이터수집 및 데이터처리 작업은 인터넷을 매개체로 하여 시스템적으로 이루어진다. 데이터수집 및 정리작업이 전체 조사프로세스의 시간이나 비용 측면에서 약 60-70%의 비중 차지하고 있어 이에 대한 개선 정도는 리서치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평가하는 핵심적인 요소가 된다.
설문 제작과정에서부터 온라인 자료분석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이 시스템화, 자동화 된다는 것은 리서치프로세스의 혁신(innovation)을 의미하며 단순노동 투입요소의 제거와 이에 따른 실사(Fieldwork) 관리인력의 축소 등 조직과 비용적인 측면의 효율성 증대를 의미할 뿐만 아니라 비전문적인 면접원을 통한 데이터수집의 한계를 시스템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수집데이터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e리서치 프로세스가 재래식 리서치 프로세스보다 효율적이라고 말하기 위해서는 한가지 중요한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이는 설문제작에서 자료처리에 이르는 e리서치 시스템이 기존의 오프라인 프로세스를 대체할 수 있을 정도의 기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는 e리서치를 수행하는데 대단히 중요한 것으로 e리서치의 신뢰수준을 가늠하는 결정적인 요소가 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e리서치 솔루션의 종류는 개별회사마다 모두 다르고 데이터수집, 관리, 처리능력에 있어서도 시스템마다 차이가 많아 e리서치를 이용하고자 하는 개인이나 기업은 e리서치 시스템을 선택하는데 신중을 기해야 하며 리서치전문가의 의견을 들어 볼 것을 권고하고 싶다.